2025/08/01

차별이 아닌 구별 (사도행전 14장 28절~ 15장 5절_20250803)



1. 들어가며 – 구별과 차별은 다릅니다
할례는 하나님의 언약을 확인하는 ‘구별’의 표지였지, 차별의 도구가 아님.
본문 상황: 예루살렘에서 온 자들이 할례를 구원의 조건으로 주장함으로 교회 안에 분열이 생김.
하나님은 구별하셨지만 차별하지 않으셨습니다. 교회 안에서도 차별은 사라져야 합니다.

2. 구원은 은혜이지 자격이 아닙니다 (행 15:1-21)
바울과 바나바는 이방 선교 보고를 하며, 하나님이 이방인에게도 믿음의 문을 여셨다고 간증.
예루살렘에서 온 유대인들은 "할례 없이는 구원 없다"고 주장 → 논쟁 발생.
베드로는 고넬료 사건을 통해 "하나님은 그들을 차별하지 않으셨다"고 고백.
야고보는 성경(아모스 9장)을 인용하여 이방인도 하나님의 백성임을 확인.
구원은 율법이나 조건이 아니라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로 주어진다.

3. 절제는 성숙의 표지, 타인을 위한 사랑입니다
사도들은 이방인에게 네 가지를 금함 (우상의 더러운 것, 피, 목매어 죽인 것, 음행) → 구원의 조건이 아닌 ‘구별의 표시’.
고대 시장 고기 대부분은 우상 제물 → 우상숭배와 연결됨.
바울은 음행은 강하게 금하되, 음식 문제는 ‘믿음이 연약한 자에 대한 배려’로 접근 (롬 14장).
자유함도 사랑으로 절제하라. 이것이 성숙한 신앙이다.

4. 구별된 삶은 정체성의 표현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통치와 주권 아래 있는 자로서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삶을 살아가야 함.
오늘날의 ‘우상의 더러운 것’은 돈, 지위, 명예일 수 있음. 이들이 정체성을 흐리게 만들 때 우상이 됨.
신자는 세상과 구별되되, 정죄하지 않고 사랑으로 구별된 삶을 살아야 한다.

5. 나오며 – 차별이 아닌 구별로 사랑을 실천합시다
갈라디아서 3:28 인용: “그리스도 안에서는 모두 하나입니다.”
하나님은 구별하셨지만 차별하지 않으셨습니다.
우리도 구별된 정체성을 따라 사랑과 절제로 살아가야 합니다.

“세상 한복판에서 우리는 차별 대신 구별된 삶을 선택합시다. 사랑으로, 절제로, 정체성으로 그리스도를 증거합시다.”

[적용질문]

1. 하나님은 우리를 ‘구별’하셨지, ‘차별’하지 않으셨습니다.
    - 나는 지금까지 누군가를 차별하거나 우월하게 여긴 경험이 있었나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
나는 교회 공동체 안에서 다름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나요? (나이, 문화, 스타일, 신앙 깊이 등)

2. 구원은 조건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지는 선물입니다.
    - 혹시 나는 누군가의 신앙 수준이나 배경을 보고 ‘구원받을 자격’이 없다고 생각했던 적은 없습니까?
    - 하나님이 나에게 베푸신 은혜를 최근에 다시 인식하게 된 순간은 언제입니까?
    내가 누군가에게 복음을 전할 때 ‘먼저 바뀌어야 할 점’을 강조하진 않았나요?

3. 하고 싶은 것, 할 수 있는 것, 해도 되는 것을 다하지 사랑의 절제입니다. 
    - 나는 신앙 안에서 어떤 부분에서 자유를 주장하지만 절제해야 할 필요를 느끼는 부분이 있습니까?
    - 내 삶의 ‘절제’는 타인을 위한 배려로 드러나고 있나요, 아니면 단지 자기 규제에 그치고 있나요?

4. 구별된 삶은 정체성의 표현입니다.
    - 나는 지금 세상 속에서 어떤 점에서 ‘하나님의 백성’으로 구별된 삶을 살고 있나요?
    - 내 안에 있는 ‘우상의 더러운 것들’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예: 인정받고자 하는 욕망, 물질 집착, 성공 중심적 사고 등)

댓글 없음:

댓글 쓰기